최소 비용을 약속합니다.
필요한 인증이 있으십니까?
1661-9109 / 042-710-9107
주식회사 비피솔루션 | 9001 |
씨엠아이 주식회사 | 9001 |
주식회사 토브수출포장 | 9001 |
동국물류 | 9001 |
우륭건설 (주) | 45001 |
주식회사 성희티에스 | 9001/14001 |
금별산업 | 9001/14001 |
하이피스 주식회사 | 9001/14001 |
(주) 한보기열 | 45001 |
SSG에너텍 | K마크 컨설팅 |
(주) 엔도마스터 | 9001 |
유한회사 예성건설 | 45001 |
주식회사 제이에이엠씨 | 9001/14001 |
주식회사 성유상사 | 14001 |
레몬가구 | 9001/14001 |
집닥 주식회사 | 메인비즈, 이노비즈 |
서도상선(주) | 9001/14001/45001 |
주식회사 제이케이테크 | 9001/14001 |
디자인고을 | 성능인증 |
주식회사 진영물류산업 | 9001 |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는 1947년도에 설립된 독립적인 비정부조직(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으로 전 세계 173개(2025년 1 기준) 개국의 국가표준기구들의 네트워크로, 상품 및 서비스의 국제간 교류를 원활하게 하고, 지식, 과학, 기술 및 경제활동분야의 협력발전이라는 관점에서 표준화 및 관련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ISO는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표준 및 관련 활동의 세계적인 조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조치
- 국제표준을 개발, 발간하며, 이 표준들이 세계적으로 사용되도록 조치
- 회원기관 및 기술위원회의 작업에 관한 정보의 교환을 주선
- 관련 문제에 관심을 갖는 다른 국제기구와 협력
- 표준화 사업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타 국제기구와 협력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는 서로 다른 언어로 된 서로 다른 약어(영어로는 IOS, 프랑스어로는 OIN: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normalisation 등)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설립 초기에 어떤 나라든 어떤 언어든 "ISO"라는 짧은 형태를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ISO는 동등하다는 뜻의 그리스어 "isos"에서 유래했습니다.
ISO 회원은 자국에서 가장 중요한 표준기관이며 국가당 회원은 한 기관 뿐입니다. 각 회원은 해당 국가의 ISO를 대표합니다. 접근성과 영향력 수준에 따라 정회원, 통신(준)회원 및 구독회원의 세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됩니다.
- 정회원(Full members/Member bodies)은 ISO 표준 개발 및 계획 수립에 참여하며,ISO 기술 및 정책 회의에 입회하고 투표합니다. 또한 해당 국가에서 ISO 표준을 판매하고 채택합니다.
- 통신(준)회원(Correspondent Members)은 ISO 기술 및 정책 회의에 옵서버로 참석하고 해당 국가에서 ISO 표준을 판매하고 채택합니다.
- 구독회원(Subscriber Members)은 ISO의 작업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지만, 작업에 참여할 수는 없으며, ISO 표준을 판매하거나 채택하지 않습니다.
2025년 1월 말 기준으로 ISO의 회원가입 현황은 정회원에 129개국, 통신회원에 40개국, 구독회원에 4개국 등 총 173개국이 가입, 활동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999년 이후 국가기술표준원(KATS: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이 정회원으로 활동 중입니다.
ISO의 조직 구성은 총회(The General Assembly), 이사회(The ISO Council), 중앙사무국(Central Secretariat), 사무총장위원회(The President’s Committee), 이사회상임위원회(Council Standing Committees), 정책개발위원회(Policy Development Committees), 자문그룹(Advisory groups), 기술관리국(Technical Management Board) 및 실제규격 제정 작업을 담당하는 다수의 기술위원회(TC:Technical Committees) 등으로 구성됩니다.
ISO의 공식 언어는 영어, 불어 및 러시아어입니다. ISO에서 발행하는 국제표준 및 가이드와 총회 및 이사회 회의록은 영어, 불어, 러시아어로 출판됩니다. 정회원은 그들 자신의 책임하에 ISO가 발간한 출판물 및 문서를 해당 국가의 언어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현 국제표준, 기술보고서 및 가이드에 대한 번역본은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회원에 의해 번역의 정확성이 사무총장에게 증명되었을 경우, ISO에 의해 공식 번역물로 인정됩니다. 이렇게 증명된 번역물은 ISO에 의해 공식 번역물로 인정되었다는 설명을 수록해야 합니다.
ISO 표준 제정 절차는 일반적으로 제안부터 발행까지 6단계로 구성되며, ISO/IEC 기술작업지침서를 준수합니다. 신규표준제안은 ISO 국가회원기관, TC/SC 간사기관, 연계기관, 기술관리이사회 또는 자문그룹, ISO 사무총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작업안은 해당 기술위원회의 정회원들에게 회부되어 투표를 거치게 됩니다.
(단계 0) 예비단계(Preliminary stage): 예비작업항목(PWI)
기술위원회나 분과위원회는 후속단계로 진행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예비작업항목(PWI)을 P멤버의 단순 과반수 투표로 작업프로그램에 도입할 수 있다.
(단계 1) 제안단계(Proposal stage): 신규작업항목 제안(NP)
신규작업항목 제안은 NP제안서식에 작성하여 제출하며, 이 항목을 작업프로그램에 추가할 것인지는 서신 또는 회의를 통해 결정한다. 적어도 5개 이상의 P멤버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해야 하며, 작업프로그램에 프로젝트로 포함시키는 문제는 1단계에서 결정된다.
(단계 2) 준비단계(Preparatory stage): 작업초안(WD)
이 단계에서는 ISO/IEC Directive, Part 2에 따라 작업초안(WD)을 작성한다. 완성된 작업초안을 위원회안(CD)이라 하며, 위원회안이 기술위원회 또는 분과위원회의 멤버들에게 회람되고 중앙사무국에 등록되면 준비단계는 종료된다.
(단계 3) 위원회단계(Committee stage): 위원회안(CD)
위원회 단계는 국가 회원기관들의 의견을 검토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국가 회원기관들은 위원회안의 내용을 검토하여 관련된 모든 의견, 특히 기술적인 의견을 제출하게 되며 국제회의의 대표자들은 자국의 입장에 대해 보고하게 된다. 질의안에 대한 회부 결정은 합의 원칙에 따르며, 위원회안이 회람을 위해 질의안으로 승인되고 중앙사무국에 등록되면 위원회단계는 종료된다.
(단계 4) 질의단계(Enquiry stage): 질의안(DIS)
질의단계 기간 동안 중앙사무국은 질의안을 모든 회원기관들에 배포하여 찬반투표를 하도록 하며 이는 다음 조건에서 승인된다. - 기술위원회 또는 분과위원회 P멤버 투표수의 2/3가 찬성하고 - 전체 투표수의 1/4 이하가 반대할 경우
(단계 5) 승인단계(Approval stage): 최종국제표준안(FDIS)
최종국제표준안을 중앙사무국에서 회원국에 배포 후 8주동안 투표한다. 회원국은 찬성, 반대, 또는 기권의 의사를 명시하며 반대를 하는 경우 반드시 기술적 사유를 명시한다. 최종국제표준안은 질의안과 같은 조건에서 승인되며, 승인단계는 최종국제표준안을 국제표준으로 발간토록 승인하였음을 명시하는 투표보고서를 회람함으로써 종료된다.
(단계 6) 출판단계(Publication stage)
4주 안에 중앙사무국 기술위원회 또는 분과위원회 간사기관은 지적된 인쇄상 오류들을 수정하여 국제표준으로 인쇄하고 배포한다. 이 단계는 국제표준의 발간과 함께 종료된다.
참조 : 국가기술표준원(www.kats.go.kr), 국제표준화기구(www.iso.org)
여기서 언급하는 ISO 경영시스템인증(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은 ISO 등 국제표준에서 말하는 적합성평가의 하나인 인증(Certification)에 포함됩니다.
적합성평가(Conformity Assessment)란 제품, 프로세스, 요구(claim), 시스템 또는 사람이 그와 관련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실증하는 것이며, 그 종류에는 인증(제품, 시스템, 자격 등), 시험, 검사 등이 있습니다.
또한, 적합성평가의 국제적 신뢰성과 통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관련 국제기구와 상호인정협정(MRA/MLA)을 체결하여 서로의 시험, 검사, 인증 또는 인정의 결과를 국가 간에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상호인정협정을 운영하는 국제기구(IAF 등)에서는 협정의 신뢰를 보장하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추가지침을 개발하여 적합성평가기관들에게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정(Accreditation)
- 적합성평가기관이 특정 적합성평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적격한지를 공식적으로 실증하는 제3자에 의한 증명 활동.
인증(Certification)
- 조직의 경영시스템, 자격(사람), 제품 등에 대해 제3자인 적합성평가기관(인증기관)이 심사 및 확인하는 활동.
인정기관은 인증기관을 인정(Accreditation)하여 관리하고, 인증기관은 조직(기업)을 인증(Certification)하여 관리함.
* 여기서 제3자란 적합성평가대상 및 그 대상에 대한 사용자와 독립적인 관계에 있는 자(조직)를 말함.
요약하면, ISO 경영시스템인증이란 조직이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관련 인증 규격 또는 기준에서 요구하는 특정 경영시스템을 구축 및 이행하고 있음을 제3자인 경영시스템 인증기관이 심사 및 확인하여 적합함을 실증하고, 인증의 유효성을 위해 지속적인 사후관리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ISO 경영시스템인증의 범위는 품질, 환경, 안전보건 뿐만 아니라 부패방지 및 규범준수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ISO 경영시스템 인증제도로는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ISO 45001(안전보건경영시스템), ISO 37001(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 37301(규범준수경영시스템), ISO 22000(식품안전경영시스템), ISO 27001(정보보안경영시스템) 등이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의 ISO 경영시스템인증의 이점
- 제품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다는 고객 신뢰 구축
- 더 저렴한 비용으로 규제 요구 사항 충족
- 효율성 및 비용 절감
- 전 세계 시장 접근성 확보
- 입찰 자격 획득
- 직원 사기, 동기 부여 및 참여도 향상
고객 입장에서의 ISO 경영시스템인증의 이점
- 품질 및 신뢰성
- 서비스 제공의 일관성
- 선택과 공정한 경쟁
- 생산 정보의 투명성
- 제품의 적합성
- 표준의 신뢰성
참조 : 한국인정지원센터(www.kab.or.kr), 국제표준화기구(www.iso.org)
ISO 경영시스템 컨설팅이란 조직(기업)이 외부 전문가(컨설턴트)를 고용하여 ISO 국제표준에 대한 인증을 받기 위한 인증제도와 인증 요구사항에 대하여 인터뷰, 분석, 진단, 교육 등을 통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ISO 경영시스템 인증과 컨설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려면 아래와 같은 주요 조직의 역활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인정기관(AB)
- 인증 피라미드의 최상위 있는 기관으로 인증기관(CB)의 인정을 담당. 인정기관은 인증기관들이 인증 대상 조직을 효과적으로 평가하는 데 필요한 역량, 공정성, 자원 등을 갖추는 것을 보장함.
인증기관(CB)
- 인증기관은 ISO 표준을 준수하는 조직을 평가하기 위해 인정기관에서 인정한 독립적인 제3자 기관. 인증기관은 품질경영을 위한 ISO9001 또는 환경경영을를 위한 ISO14001 등과 같은 표준의 요구사항을 인증 대상 조직이 충족하고 있는지에 대해 심사를 수행하며, 통과한 조직에게 인증서 발급.
인증을 신청하는 조직(기업 등)
- 표준의 요구사항에 대한 준수와 책무을 입증하기 위해 인증을 신청하는 조직(기업). 인증은 신임도 향상, 운영 효율성 향상, 고객 신뢰 향상과 같은 이점으로 이어질 수 있음.
컨설턴트 또는 컨설팅 조직
- 컨설턴트는 인증 과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ISO 요구사항을 해석하고 규정을 준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며 심사 준비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제공.IK Academy는 모든 규모의 조직에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여 프로세스 간소화 추구.
* ISO/IEC 17021-1 규정은 인증기관이 경영시스템을 컨설팅(자문)하고 동시에 심사하는 것을 명확히 금지하고 있음.
ISO 경영시스템인증은 무조건 컨설팅을 통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가능한 인력이 있다면 인증을 받으려는 조직이 외부 도움없이 직접 준비할 수도 있습니다.
조직 내부 인원에 의한 인증 준비
- 장점: 외부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지 않기 때문에 이 가장 저렴할 수 있음. 또한 내부 프로세스나 문서에 대한 보안 유지. 마지막으로, 담당자가 문서를 작성하면 필요한 변경 사항에 대한 책임이 높아짐.
- 단점: 모든 일을 직접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 또한 직원들의 경험 및 숙련도 부족으로 인한 반복된 실수로 인해 가장 비싼 선택이 될 수 있음.
컨설팅에 의한 인증 준비
- 장점: 확실히 경영시스템을 구현하는 가장 빠른 방법. 능숙한 컨설턴트는 많은 경험을 가지고 프로젝트를 빠르게 완료하기 위한 구상 가능. 또한 직원들이 이 프로젝트에 전념할 시간이 없다면 가장 좋은 방법.
- 단점: 컨설팅은 분명히 비용이 들기 때문에 가장 비싼 방법. 게다가 회사 비밀의 거의 대부분(예: 조직, 주요 프로세스 및 핵심 경쟁 우위, 핵심 인원 등)에 대한 접근 권한을 컨설턴트에게 공개해야 할 가능성. 마지막으로 컨설턴트가 문서를 작성하면 직원들은 해당 정책과 절차가 자신에게 부과된다고 느낄 수 있어 내부 반발 가능.
ISO 경영시스템 컨설팅에 대한 IK Academy의 접근 방식은 새로운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고객을 지원하는 일반적인 방식과 다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IK Academy는 해당 기업이 ISO 경영시스템인증을 보다 쉽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특화된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으며 최소 비용으로 인증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장 최적의 방업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고객은 두 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합니다. "할 수 있지만" 내부 리소스가 없는 조직과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할 수 없는" 조직입니다. 어떤 경우든 IK Academy가 도울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고객은 이미 제품, 서비스 및 운영에 대한 전문가이고 IK Academy는 리스크 및 규정 준수에 대한 전문가입니다. IK Academy가 함께 협력한다면 고객의 비즈니스와 완벽하게 통합되고 실제로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이 탄생할 것입니다. IK Academy는 직원이 500명이 넘는 고객과 직원이 5명(또는 그 이하)인 고객이 있습니다. IK Academy의 참여 기간은 단 하루일 수도 있고 1년 이상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모든 고객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한 가지는 IK Academy가 모든 고객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IK Academy는 고객들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필요한 만큼 지원하고 서로 협력적인 접근 방식을 선택합니다. IK Academy는 처음부터 끝(매뉴얼/절차서 작성부터 프로세스 문서화, 경영검토, 내부감사, 지속적 개선 등)까지 전체 프로세스를 기업과 함께하는 전담 컨설턴트를 지정하여, 전체 과정을 간소화하고, 진행하는 내내 고객이 업무 부하와 스트레스가 없도록 할 것입니다.
IK Academy는 ISO 9001, ISO 14001, ISO 45001, ISO 37001, ISO 37301, ISO 13485 등 다양한 분야의 ISO 경영시스템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Core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