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시스템 인증

ISO 45001

개요

안전보건경영시스템(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ISO45001은 직업안전보건(OHS)관리시스템에 대한 국제표준화기구(ISO) 표준으로, OHSAS18001, 국제노동기구의 ILO-OSH 지침, 다양한 국가 표준 및 ILO의 국제노동 표준 및 협약 등을 기반으로 하여 2018년 3월에 정식 규격으로 제정되어 발행되었다.

ISO45001은 기업의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전 직원 및 이해관계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활동하는 것으로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적에 예측 및 예방하여 조직원의 안전 보건과 건강을 유지하고 궁극적으로 기업의 이윤 창출과 조직의 안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적 관리방법이다.

필요성 및 효과

ISO 45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성공 요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실행은 조직을 위한 전략적, 운영적인 결정이며,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성공은 리더십, 조직의 모든 계층과 조직의 참여의지에 달려 있다.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실행과 지속성, 효과와 의도된 결과를 달성하는 능력은 다음사항을 포함하는 요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최고경영자의 리더십, 의지, 책임과 의무
  •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의도된 결과를 지원하는 조직의 문화 개발
  • 의사소통
  • 근로자와 근로자 대표의 협의 및 참여
  • 안전보건경영시스템에 필요한 자원의 배분
  • 조직의 전반적인 전략적 목표와 방향에 적절한 방침
  • 안전보건 리스크와 기회 활용에 대한 관리 및 위험요인 식별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세스
  • 안전보건 성과개선을 위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지속적인 성과 평가와 모니터링
  •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통합
  • 안전보건방침과 일관된 조직의 위험요인 및 안전보건 리스크와 기회를 고려한 안전보건 목표
  • 법적 요구사항과 그 밖의 요구사항 준수

ISO 45001 인증 효과

법규 준수 보장 - ISO 45001은 리스크와 기회, 법적 요구사항 및 기타 요구사항을 고려한 운영 관리방법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

안전 및 보건 의식 향상 – 조직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조직이 직원들의 안전 및 보건 위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직원들이 안전 및 보건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함

기업 이미지 향상 – ISO45001 인증을 획득하는 것은 국제적인 기준을 달성했음을 인정하는 것으로, 사회적 책임에 관심있는 고객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긍적적 영향을 줌

결근 감소 – 직장 내 안전보건 리스크 관리를 개선하여 직원을 보호하고 결근 및 이직률을 줄일 수 있음

보험료 인하 - 효과적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갖추고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많은 기업이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음

안전보건 규정 준수 문제 개선 – ISO45001은 규정 준수 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응 능력을 향상시켜 사고 및 작업중단의 등의 비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됨

안전보건 리스크 개선 – 조직의 활동과 관련된 위험요인과 안전보건 리스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를 제거하거나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 실행

ISO 45001의 PDCA 사이클

PDCA 개념은 지속적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에 의해 사용되는 반복적인 프로세스이다.

계획(Plan): 안전보건 리스크, 안전보건 기회 그리고 기타 리스크와 기타 기회를 결정 및 평가하고, 조직의 안전보건 방침에 따라서 결과를 만들어 내는 데 필요한 안전보건 목표 및 프로세스 수립

실행(Do): 계획대로 프로세스 실행

검토(Check): 안전보건 방침과 목표에 관한 활동 및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및 측정하고, 그 결과를 보고

조치(Act): 의도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전보건 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조치 시행

ISO 45001:2018 요구사항

ISO 45001:2018의 요구사항은 조직이 업무와 관련된 상해 및 건강상 장해를 예방하고 안전보건 성과를 적극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활용 가이던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안전보건 개선, 위험요인 제거 및 안전보건 리스크(시스템 결함 포함) 최소화, 안전보건 기회 활용, 조직 활동과 관련된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부적합 사항을 다루기 위하여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수립, 이행, 유지하고자 하는 모든 조직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ISO 경영시스템표준(MMS:Management System Standards)들이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HLS(High-level structure) 구조를 갖추었기 때문에 타 경영체제(ISO 9001, ISO 14001 등)와 통합 심사, 인증 등 관리가 용이하다.
4. 조직상황
  • 4.1 조직과 조직상황의 이해
  • 4.2 근로자 및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기대 이해
  • 4.3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적용범위 결정
  • 4.4 안전보건경영시스템
5. 리더십과 근로자 참여
  • 5.1 리더십과 의지표명
  • 5.2 안전보건 방침
  • 5.3 조직의 역할, 책임 및 권한
  • 5.4 근로자 협의 및 참여
6. 기획
  • 6.1 리스크와 기회를 다루는 조치
  • 6.2 안전보건 목표와 목표 달성 기획
7. 지원(support)
  • 7.1 자원
  • 7.2 역량/적격성
  • 7.3 인식
  • 7.4 의사소통
  • 7.5 문서화된 정보
8. 운용
  • 8.1 운용 기획 및 관리
  • 8.2 비상시 대비 및 대응
9. 성과평가
  •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 9.2 내부심사
  • 9.3 경영검토
10. 개선
  • 10.1 일반사항
  • 10.2 사건, 부적합 및 시정조치
  • 10.3 지속적 개선